레알 무르시아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레알 무르시아는 1919년 레반테 풋볼 클럽으로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, 1923-24년에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.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8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, 2002-03 시즌에 마지막으로 우승했다. 1939-40 시즌에 라 리가에 처음 승격되었으며, 11위가 최고 성적이다. 2000년대 후반부터 부진과 재정 위기를 겪었으며, 2019년에는 스페인 왕립 연맹 컵에서 우승했다. 엘체 CF, 알바세테 발롬피에 등과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무르시아주의 축구단 - FC 카르타헤나
FC 카르타헤나는 1995년 창단되어 현재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하고 있으며,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4회,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2회 우승했고, 14,532명을 수용하는 에스타디오 카르타고노바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스페인 무르시아 지방 카르타헤나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. - 무르시아주의 축구단 - 카르타헤나 FC
카르타헤나 FC는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, Unión Deportiva Cartagenera, Club Deportivo Cartagena를 거쳐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, 세군다 디비시온 B 우승과 테르세라 디비시온 우승을 기록했고, 다양한 유니폼 디자인 변화가 있었다. - 왕실 후원을 받는 스페인의 단체 - 레알 사라고사
레알 사라고사는 1932년 창단된 스페인 사라고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, "로스 마그니피코스" 시대 코파 델 레이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, UEFA컵 위너스컵 우승 등의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 중이다. - 왕실 후원을 받는 스페인의 단체 - 스페인 왕립 학술원
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스페인어의 표준을 정립하고 보존하기 위해 1713년에 설립된 기관으로, 스페인어의 연구와 보급에 기여하며,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와 협력하여 활동한다. -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구단 - 말라가 CF
말라가 CF는 스페인 말라가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, 재창단 후 UEFA 인터토토컵 우승과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, 재정 문제 속에서도 2024년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. -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구단 -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
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는 레알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으로, 과거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며 코파 델 레이 준우승,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, 이케르 카시야스, 라울 곤살레스, 구티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하며 유소년 육성에 기여하고 현재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.
레알 무르시아 - [스포츠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공식 명칭 | Real Murcia Club de Fútbol, S.A.D. (레알 무르시아 클루브 데 푸트볼,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포르티바) |
별칭 | Pimentoneros (피멘토네로스, 파프리카 재배자) |
창단일 | 1919년 12월 6일 (Levante Foot-ball Club (레반테 풋볼 클럽)으로 창단) |
홈구장 | 누에바 콘도미나, 무르시아, 무르시아, 스페인 |
수용 인원 | 31,179명 |
회장 | 펠리페 모레노 로메로 |
감독 | 프란 페르난데스 |
리그 정보 | |
현재 리그 |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|
2022-23 시즌 | 6위 |
유니폼 정보 | |
홈 유니폼 | 상의: 빨간색 바탕에 흰색 소매 하의: 흰색 양말: 빨간색 |
원정 유니폼 | 상의: 남색 하의: 남색 양말: 남색 |
웹사이트 | 레알 무르시아 공식 웹사이트 |
2. 역사
레알 무르시아는 1903년의 Foot Ball Club de Murcia|풋볼 클루브 데 무르시아es나 1906년의 Murcia Football Club|무르시아 풋볼 클루브es와 같은 전신 클럽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, 공식적으로는 1908년에 창단되었다고 여겨진다 (1919년 Levante Foot-ball Club|레반테 풋볼 클루브es로 창단되었다는 기록도 있다). 1923-24 시즌에 스페인의 알폰소 13세 국왕으로부터 '레알(Real)' 칭호를 받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. 이듬해인 1924년에는 라 콘도미나 경기장이 개장되어 82년간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.
1929년 테르세라 디비시온(당시 3부 리그)에 처음 참가했으며, 1939-40 시즌에는 처음으로 라 리가(1부 리그) 무대를 밟았다. 이후 주로 세군다 디비시온(2부 리그)에서 활동했으며, 1부 리그에서의 최고 성적은 1945년, 1946년, 1984년, 1987년에 기록한 11위이다. 레알 무르시아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총 8번 우승하여 이 부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, 가장 최근 우승은 2002-03 시즌이다.[2] 이 시즌에는 코파 델 레이에서도 8강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.[3]
2006년에는 82년간 사용했던 라 콘도미나를 떠나 에스타디오 누에바 콘도미나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. 2006-07 시즌에 다시 라 리가로 승격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고, 2009-10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(3부 리그)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.[4] 한 시즌 만에 2부 리그로 복귀했지만,[5] 2013-14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하고도[6] 재정 규정 미준수로 인해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.[7] 2019년에는 스페인 왕립 연맹 컵에서 구단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.[8]
2. 1. 창단 초기 (1908년 ~ 1939년)
1903년에 설립된 Foot Ball Club de Murcia|풋볼 클루브 데 무르시아es와 1906년에 설립된 Murcia Football Club|무르시아 풋볼 클루브es 같은 전신 클럽들이 존재했지만, 현재의 레알 무르시아는 공식적으로 1908년에 창단되었다. (1919년에 Levante Foot-ball Club|레반테 풋볼 클루브es라는 이름으로 공식 창단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.) 1923-24 시즌, 스페인의 알폰소 13세 국왕으로부터 '레알(Real)' 칭호를 받아 현재의 이름인 레알 무르시아로 명명되었다.1924년에는 홈 구장인 라 콘도미나가 개장되었고, 클럽은 이후 82년 동안 이곳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. 1929년, 클럽은 처음으로 스페인 3부 리그인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, 1939-40 시즌에는 처음으로 스페인 최상위 리그인 라 리가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.
2. 2. 리그 참가와 성장 (1929년 ~ 1980년대)
1929년 클럽은 처음으로 테르세라 디비시온 (당시 3부 리그)에 참가하며 스페인 리그 시스템에 합류했다. 이후 1939–40 시즌에는 처음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 (현 라 리가)으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.승격 이후 레알 무르시아는 대부분의 기간을 세군다 디비시온 (2부 리그)에서 보냈고, 때때로 1부 리그로 승격하거나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되기도 했다. 1부 리그에서는 1945년과 1946년에 기록한 11위가 이 시기 클럽의 최고 성적이었다. 1977년 세군다 디비시온 B (새로운 3부 리그)가 창설된 이후에는 단기간 이 리그에 소속되기도 했지만, 1980년에는 다시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며 1부 리그 무대에 복귀했다.
이 기간 동안 레알 무르시아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으며, 총 8번의 우승을 차지하여 현재까지도 세군다 디비시온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.
2. 3. 세군다 디비시온 최다 우승 (1980년대 ~ 현재)
레알 무르시아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통산 8번 우승하여 이 부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. 1980년대에는 라 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을 오르내렸으며, 1983–84 시즌과 1986–87 시즌에는 라 리가에서 클럽 역사상 최고 순위인 1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. 그러나 1988–89 시즌을 끝으로 다시 2부 리그로 내려갔다.1990년대에는 주로 세군다 디비시온에 머물렀으나, 1992-93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가 1년 만에 우승하여 복귀하기도 했다.
2000년대 들어 2002–03 시즌에 다비드 비달 감독의 지휘 아래 통산 8번째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라 리가로 승격했다.[2] 이 시즌 코파 델 레이에서는 8강까지 진출하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,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를 상대로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4–3으로 승리했지만 원정 다득점 규칙에 의해 아쉽게 탈락했다.[3] 그러나 라 리가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한 시즌 만에 1부 리그 잔류에 실패했다.
2006년 11월, 82년간 홈 구장으로 사용했던 에스타디오 데 라 콘도미나를 떠나 에스타디오 누에바 콘도미나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. 라 콘도미나에서의 마지막 경기는 폴리데포르티보 에히도와의 경기(0-1 패)였고, 누에바 콘도미나에서의 첫 경기는 레알 바야돌리드와의 경기(1-4 패)였다. 2006–07 시즌에는 루카스 알카라스 감독 아래 다시 라 리가로 승격했으나, 다음 시즌 하비에르 클레멘테 감독을 선임하는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한 시즌 만에 강등되는 역사를 반복했다.
2009–10 시즌에는 더욱 큰 시련을 맞았다. 시즌 마지막 날 지로나 FC와의 홈 경기에서 1-1로 비기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는데, 특히 경기 종료 직전 추가 시간에 골키퍼 알베르토 시푸엔테스가 상대팀 키코 라톤의 페널티킥을 막아냈으나 공이 자신에게 맞고 골문으로 들어가는 불운을 겪었다.[4] 다행히 2010–11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CE 사바델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1년 만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.[5]
하지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의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. 2012–13 시즌에는 19위를 기록했으나, 18위 CD 과달라하라가 재정 문제로 강등되면서 운 좋게 잔류했다. 2013–14 시즌에는 4위를 차지하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, 최종 승격팀인 코르도바 CF에게 패배했다.[6] 설상가상으로 시즌 종료 후 프로축구 리그(LFP)의 재정 규정을 준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는 처분을 받았다.[7]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 B에 머물렀으며, 2016-17 시즌까지 3시즌 연속으로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.
2019년에는 CD 투데라노와의 결승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스페인 왕립 연맹 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.[8]
2. 4. 최근의 부진과 재정 위기 (2000년대 후반 ~ 현재)
2002-03 시즌에 다비드 비달 감독 아래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하고 코파 델 레이 8강에 진출하는 등[2][3]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으나, 2000년대 후반부터는 부진과 재정 문제를 겪기 시작했다.2006-07 시즌에 루카스 알카라스 감독의 지휘 아래 마지막으로 라 리가로 승격했지만, 단 한 시즌 만인 2007-08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다. 시즌 중반 스페인 대표팀 감독 출신인 하비에르 클레멘테를 선임하며 반전을 노렸으나 강등을 피하지 못했다. 2008-09 시즌에도 초반부터 강등권에 머물렀고, 결국 2008년 12월 클레멘테 감독이 해임되었다. 팀은 간신히 세군다 디비시온 잔류에 성공했다.
그러나 2009-10 시즌 종료 후, 지로나 FC와의 마지막 라운드 경기에서 1-1로 비기면서 10년 만에 세군다 디비시온 B (3부 리그)로 강등되었다. 이 경기 추가 시간에는 골키퍼 알베르토 시푸엔테스가 상대팀 키코 라톤의 페널티킥을 막아냈으나, 공이 골키퍼 몸에 맞고 골문으로 들어가는 불운을 겪었다.[4]
2010–11 세군다 디비시온 B 시즌, CE 사바델 FC와의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한 시즌 만에 2부 리그로 복귀했다.[5] 하지만 2011-12 시즌 18위, 2012-13 시즌 19위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. 특히 2012-13 시즌에는 18위 CD 과달라하라가 재정 문제로 강등되면서 운 좋게 강등을 피했다.
2013-14 시즌에는 이전 시즌과 달리 4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.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승격팀인 코르도바 CF에게 합계 1-2로 패배했다.[6] 설상가상으로 시즌 종료 후, 프로축구 리그(LFP)의 재정 규정 미준수로 인해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는 처분을 받았다.[7] 이후 2016-17 시즌까지 3년 연속으로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모두 패배하며 승격에 실패했다.
2019년에는 CD 투데라노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스페인 왕립 연맹 컵 우승을 차지했다.[8]
3. 경기장
(내용 없음 -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.)
3. 1. 에스타디오 데 라 콘도미나 (1924년 ~ 2006년)
(내용 없음 -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.)4. 선수
현재 선수 명단 및 역대 주요 선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.
2군 팀 정보는 레알 무르시아 임페리얼 문서를 참고하라.
4. 1. 현재 선수 명단 (2024년 11월 11일 기준)
등번호 | 국적 | 포지션 | 이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 | 아르헨티나 | 골키퍼 | 잔프랑코 가자니가 | |
2 | 스페인 | 수비수 | 호르헤 미에르 | |
4 | 몬테네그로 | 수비수 | 에스테반 사벨리치 | |
5 | 스페인 | 수비수 | 안톤 하소 | |
6 | 스페인 | 수비수 | 알베르토 곤잘레스 | |
7 | 스페인 | 공격수 | 로렌 부론 | |
8 | 스페인 | 미드필더 | 파블로 라레아 | |
9 | 스페인 | 공격수 | 페드로 베니토 | |
11 | 스페인 | 공격수 | 호세 앙헬 카리요 | |
12 | 스페인 | 공격수 | 라울 알카이나 |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에서 임대 |
13 | 스페인 | 골키퍼 | 이케르 피에드라 | |
14 | 스페인 | 공격수 | 페드로 레온 | 주장 |
15 | 베네수엘라 | 미드필더 | 호르헤 이리아르테 | 에이바르에서 임대 |
16 | 가나 | 미드필더 | 리차드 보아텡 | |
17 | 스페인 | 공격수 | 카를로스 로하스 | 알메리아에서 임대 |
18 | 스페인 | 수비수 | 다비드 비센테 | |
19 | 스페인 | 공격수 | 케네스 솔레르 | 에스파뇰에서 임대 |
20 | 잉글랜드 | 공격수 | 벤 나이트 | |
21 | 스페인 | 수비수 | 카데테 | |
22 | 스페인 | 미드필더 | 후안 카를로스 레알 | |
23 | 스페인 | 수비수 | 안드레스 로페스 | |
24 | 스페인 | 미드필더 | 모하 무클리스 | |
29 | 브라질 | 공격수 | 마테우스 카도리니 | |
30 | 브라질 | 미드필더 | 주앙 페드루 팔름베르그 | |
— | 스페인 | 미드필더 | 이지 |
4. 2. 역대 주요 선수
분류:레알 무르시아의 축구 선수 참조.아래는 2017년 9월 6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.
등번호 | 포지션 | 국적 | 이름 |
---|---|---|---|
GK | 스페인 | 비엘 리바스 | |
GK | 스페인 | 알레한드로 산토메 | |
DF | 스페인 | 다비드 마테오스 | |
DF | 스페인 | 페드로 올필라 | |
DF | 스페인 | 알렉스 오르티스 | |
DF | 스페인 | 후안라 | |
DF | 스페인 | 다비드 포르니에스 | |
DF | 아르헨티나 | 페데리코 베가 | |
MF | 스페인 | 페르난도 요렌테 | |
MF | 스페인 | 프란 카르니세르 | |
MF | 스페인 | 아르만도 오르티스 (주장) | |
MF | 스페인 | 다비드 산체스 (부주장) | |
MF | 스페인 | 후안마 브라보 | |
MF | 스페인 | 요르단 도밍게스 | |
MF | 스페인 | 나도지브 멘고드 | |
FW | 스페인 | 에라디 소리야 | |
FW | 스페인 | 아벨 몰리네로 | |
FW | 스페인 | 쿠시스크 마르티네스 | |
FW | 스페인 | 산티 하라 | |
FW | 스페인 | 페드로 마르틴 | |
FW | 스페인 | 빅토르 쿠르토 | |
FW | 스페인 | 살바 차모로 |
레알 무르시아의 선수 목록#소속 선수·감독 참조.
5. 역대 감독
wikitext
감독 | 임기 |
---|---|
안토닌 피베브르 | 1932~1933 |
이그나시오 에이사기레 | 1960~1962 |
페르디난드 다우치크 | 1963~1964 |
안토니 라마예츠 | 1964~1965 |
호세 마리아 사라가 | 1965 |
페렌츠 푸스카스 | 1975 |
호세 이글레시아스 페르난데스 | 1976 |
카르멜로 세둘른 | 1977~1979 |
라디슬라오 쿠발라 | 1986 |
호아킨 페이로 | 1992~1993 |
다비드 비달 | 2001~2003 |
호아킨 페이로 | 2003~2004 |
존 토샥 | 2004 |
마누엘 프레시아도 | 2004~2005 |
카수코 | |
세르기예 크레시치 | 2006 |
루카스 아라카라스 | 2006~2008 |
하비에르 클레멘테 | 2008 |
호세 미겔 캄포스 로드리게스 | 2008~2009 |
호세 곤잘레스 | 2009~2010 |
이냐키 알론소 | 2010~2012 |
구스타보 시비에로 | 2012~2013 |
오네시모 산체스 | 2013 |
훌리오 벨라스케스 | 2013~2014 |
마놀로 산루카르 | 2017~ |
구스타보 무누아 | 2023 |
프란 페르난데스 | 2024~ |
6. 라이벌 관계
wikitext
클럽명 | 연고지 | 소속 디비전 |
---|---|---|
엘체 CF | 발렌시아 지방 알리칸테 주 엘체 | 세군다 디비시온 |
알바세테 발롬피에 | 카스티야-라 만차 지방 알바세테 | |
에르쿨레스 CF | 발렌시아 지방 알리칸테 주 | 세군다 디비시온 B |
FC 카르타헤나 | 무르시아 지방 카르타헤나 | |
UCAM 무르시아 | 무르시아 지방 무르시아 |
7. 우승 기록
- '''세군다 디비시온'''
- * '''우승 (8회) – 최다 기록:''' 1939–40, 1954–55, 1962–63, 1972–73, 1979–80, 1982–83, 1985–86, 2002–03
8. 유니폼 공급 업체
현재 유니폼 공급 업체는 엄브로이다. 역대 유니폼 공급 업체는 다음과 같다.
참조
[1]
웹사이트
NUEVA CONDOMINA
http://www.realmurci[...]
Real Murcia
2017-08-10
[2]
뉴스
El Murcia regresa a Primera con Vidal
https://www.elmundo.[...]
El Mundo (Spain)
2019-12-19
[3]
뉴스
El Depor sigue en la Copa tras el martirio murciano
https://www.elmundo.[...]
2019-12-19
[4]
뉴스
El Murcia desciende de la forma más cruel
https://www.laopinio[...]
2019-12-19
[5]
뉴스
El Real Murcia, campeón de Segunda B en los penaltis
https://www.marca.co[...]
Marca (newspaper)
2019-12-19
[6]
뉴스
Los blanquiverdes, a un solo paso de su retorno a Primera
https://www.marca.co[...]
2019-12-19
[7]
뉴스
La LFP desciende al Murcia a 2ªB y asciende al Mirandés
https://www.marca.co[...]
2019-12-19
[8]
뉴스
Adiós a la Copa RFEF: un gran Tudelano merece la victoria pero cae en los penaltis ante el Real Murcia
https://navarra.eles[...]
Navarra.com
2020-07-13
[9]
웹사이트
Real Murcia – Primer equipo > Plantilla
https://www.realmurc[...]
2021-04-08
[10]
웹사이트
NUEVA CONDOMINA
http://www.realmurci[...]
Real Murcia
2017-08-10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